본문 바로가기

직장

근무일수 계산, 엑셀로 쉽게하세요 (양식포함)

날짜만 알면 근무일수 계산 쉽게 하실 수 있어요~ 


◎  하단에 있는 엑셀 파일 다운 받으세요.


■  엑셀 파일을 여시고 시작날짜와 마지막 날짜를 입력해주세요.

♠  직접 만들어 보실 분은 Datedif() 함수를 사용하세요.


♣  2016년 전체 공휴일 기간은 13일입니다.^^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을 때 근무기간이 1년이 넘으면 퇴직금을 받습니다. 퇴직금은 근로일수를 기준으로 산정되는데요. 많은 분들이 "무급 병가"는 포함안되는 줄 아시고 계십니다. 정답은 "포함된다"입니다. 퇴직금을 산정할때는 휴직 및 결근, 병가 기간이 모두 포함됩니다.


퇴직금 뿐만 아니라 회사 업무를 할때도 추석이나 설날이 끼는 달이면 근로일수가 적어 매출이 저조한 현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여러 가지로 근무일수 계산이 필요한데요. 간단하게 구하는 2가지 방법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엑셀을 이용한 방법




▲ 아래 첨부드린 엑셀 파일을 여시고 화살표 부분에 입력하시면

결과값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근무일수 계산.xlsx


흰 부분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엑셀 파일 만드는 법

직접 Excel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시작날"과 "마지막날"을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XXXX-XX-XX" 형식으로 적어주셔야 엑셀이 날짜로 인식합니다~



▲ 엑셀로 인식되지 않았다면 날짜 부분을 지정하신 후에

메뉴 쪽에 있는 표시형식을 "간단한 날짜"로 변경해주세요~

[홈]-[표시형식]-[간단한 날짜]



▲ F3 부분(일수 넣을 곳)을 클릭하신 후

"=Datedif(B3,C3,"D")"를 입력해주세요.


※ Datedif() 함수란?

 : 두 날짜 사이의 일, 월 또는 연도 수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 DATEDIF(시작날짜,마지막날짜,옵션)


옵션

반환 값

"Y"

 해당 기간에 포함된 전체 연도 수

"M"

 해당 기간에 포함된 전체 개월 수

"D"

 해당 기간에 포함된 날짜 수


▲ Datedif() 함수 옵션값을 "M"으로 변경해서 입력하시면

위와 같이 근무월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엑셀을 이용한 근무일수 계산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정말 간단하죠?

공휴일은 포함되지 않은 값임을 참고해주세요.^^;



2016년 모든 휴무일을 제외한 근무 가능한 날은 248일이라고 합니다.

(토요일 53일, 일요일 52일, 공휴일 13일)


2016년에도 힘내시고, 화이팅하세요~